반응형
안녕하세요. 국민연금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. 1963년생이신 여러분, 이제 곧 만 63세가 되어 연금 수령 대상이 되죠. 그렇다면 과연, 매달 얼마를 받게 될까요?
이 글에서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확인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. 전자민원, 정부24, 모바일 앱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.
1. 전자민원으로 예상 연금액 확인하기 :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- 로그인 (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가능)
- [개인서비스] → [연금모의계산] 클릭
- [노령연금 예상액 조회] 클릭
- 가입 기간·납입 이력 확인 후, 예상 월 수령액 확인
예시: 가입 15년, 평균 소득 250만 원 → 약 63세부터 65만 원 전후 수령 가능
2. 정부24에서 통합 연금정보 확인 :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- 회원가입 후 로그인
- [내 연금 정보] 메뉴 선택
- 국민연금 외에 퇴직연금, 사적연금까지 통합 확인 가능
퇴직연금과 국민연금을 함께 계획하면 더 안정적인 은퇴 설계가 가능합니다.
3. 모바일 앱으로 간편 조회
앱명: 내 곁에 국민연금
-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 설치
- 간편인증 로그인
- [예상연금조회] 클릭 → 바로 수령액 확인 가능
■ 영상으로 확인하는 연금 조회 방법
아래 영상은 국민연금공단 공식 채널에서 제공하는 '예상 수령액 조회' 방법입니다.
출처: 국민연금공단 공식 유튜브 채널 [국민연금TV]
마무리
예상 수령액을 미리 확인해보면, 연금만으로 부족한 경우를 대비한 추가 준비도 가능해집니다. 지금 내 상황을 정확히 알고, 현실적인 은퇴 계획을 세워보세요!
다음 편(3편): 10년 미만 가입자라면 꼭 알아야 할 '임의계속가입제도'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.
✉️ 제 블로그가 도움이 되셨다면?
즐겨찾기 또는 구독해주시고, 댓글로 의견도 남겨주세요!
즐겨찾기 또는 구독해주시고, 댓글로 의견도 남겨주세요!
#국민연금예상액 #연금수령액조회 #전자민원 #내곁에국민연금앱 #정부24연금조회 #1963년생연금 #은퇴설계
반응형